재테크 정보55 [부동산 데이터 분석] 필요한 데이터는 무엇이고 어디서 얻을 수 있는가? 긴 숫자와 글을 동원하며 설명해야 할 풍성한 정보가 지표(indicator)에 담겨 있습니다. 어떤 지표들은 우리가 원하는 결과와 연관이 있다는 게 꾸준히 증명되어서 이 지표들을 잘 활용하면 남보다 적은 시간을 들이고도 좋은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. 주식투자에선 그런 지표들을 확인하기도 쉽고, 어떤 매체에서나 연일 전문가라는 사람들이 나와 특정 지표와 현상의 관계를 설명해주는데 부동산 영역은 정책이라는 요인이 거의 중력처럼 작용하고 있어서 모든 담론이 거기에 집중되어 있는 것 같아요. 그게 중요한 요인은 맞지만 유일한 요인은 아닐 겁니다. 부동산으로 돈을 버는 게 목적이라면 그 목적에 부합하는 데이터를 총동원해야죠. 그런데 부동산 가격과 관련된 지표가 뭔지 잘 몰라서, 언제나처럼 앞서 가신 분들.. 2021. 6. 11. [주택담보대출을 받으며 생각한 것] 나는 보금자리론 소득요건을 충족하는가? 서울에 집을 사기 위해 주택담보대출을 받으러 다니면서 돈 빌려주는 주체가 세 군데 있다는 걸 알게 됩니다. 가족 정부(주택금융공사, 주택도시기금) 시장(시중 은행) 그리고 이 순서대로 돈을 빌리는 데 드는 비용(이자)이 비싸다는 것도 알게 됩니다. 이 포스팅은, 다만 0.01%라도 이자율 낮은 주택담보대출 받기 위해 분투하던 그 때의 제가 휘갈겨놓은 메모를 정리한 글입니다. 궁금한 게 있어 네이버를 검색하면 순 대출상담사들 전화번호밖에 안 나와서 주택금융공사나 은행에 수시로 물어보고 알게 된 깨알 같은 지식이 들어 있어요. 일단 아파트 사려고 마음 먹고선 저도 주택금융공사의 보금자리론을 제일 먼저 알아봤습니다. 금리가 시중은행보다 낮고 만기까지 고정금리였거든요. 그리고 은행 금리가 아무리 떨어진다 해도.. 2019. 9. 23. [주택담보대출/적격대출을 받으며 생각한 것] 부부 공동명의면 대출한도는 절반이 되는가? 보금자리론 소득요건이 안 된다는 걸 확인하고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을 알아보다가 결국엔 적격대출을 받았습니다. 고정금리 2.55%로요. 적격대출의 경우 기금은 주택금융공사에서 나오지만 창구 역할을 하는 시중 은행마다 금리가 다르고, 매월 갱신되니 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에서 잘 확인해서 준비하세요. 적격대출의 한도 산정이나 필요서류나 절차는 시중은행 주담대의 그것과 대동소이합니다. 제가 여기에 적은 내용들은 적격대출을 받으며 알게 된 내용이지만 일반 주담대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보시면 돼요. Q. 적격대출 한도는 무얼 기준으로 산정하나? A. 으로 확인되는 시세다. KB부동산 앱 > 매물/시세 > 매매할 아파트 단지를 검색 > 시세/실거래가로 진입하면 아래와 같이 지표가 뜨는데 여기서 일반평균가를 확인하면 된다.. 2019. 9. 23. 이전 1 ··· 11 12 13 14 다음